이해라는 나무와 오해라는 잡초

by 지찬만 posted Jul 08, 20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해라는 나무와 오해라는 잡초



이해의 나무에는 사랑의 열매가 열리고,
오해의 잡초에는 증오의 가시가 돋는다.



이해는, 내면적인 안목에 의존해서
대상을 바라볼 때 숙성되고
오해는, 외면적인 안목에 의존해서
대상을 바라볼 때 발아된다.



그대가 사랑하는 사람을
외형적 안목에 의존해서
바라보는 성향이 짙을수록
오해의 소지도 많아진다는 사실을 명심하라.



지나치게 외형적 안목을 중시하게 되면
그대가 사랑하는 사람의
내면적 가치를 소홀히하게 된다.



진정한 사랑은
마음속에 있는 것이지
마음밖에 있는 것이 아니다.



그대가 사랑하는 사람이
내면적 안목에 의존해서 바라보면
아름답게 해설될 수 있는 것이다.



걸레의 경우를 생각해 보라.
비천하기 그지없지만
내면적 안목에 의존해서 바라보면
숭고하기 그지없다.



걸레는 다른 사물에 묻어 있는
더러움을 닦아내기 위해
자신의 살을 헐어야 한다.



이해란
그대 자신이
걸레가 되기를 선택하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말하기를 오해와 이해의 차이는 
서로의 입장 차이가 아닌가 싶어요.

(5-3=2) 와 (2+2=4)가 무슨 뜻인지 아시는지요??
그리 어렵게 생각이 들지 않는 계산이라 
쉽게 2나 4라고 대답들을 하지요.ㅎㅎㅎ
그런데 이 계산을 잘 풀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5-3=2)란 어떤 오해(5)라도 
세번(3)을생각해야 이해(2)할 수있게 된다는 뜻이고

(2+2=4)란 이해(2)와 이해(2)가 모일 때사랑(4)이 된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남들로 부터 오해를 받을 때가 있잖아요.
그럴 때는 세번을 생각하면 이해를 할 수 있다는 풀이가 그럴 듯 하죠.

사실 영어로 이해를 말하면 understand는 단어로 
누군가의 밑에 서다 라는 뜻으로 그사람 입장에 서서 생각하고
바라보는 것이 이해라는 것입니다.

이해와 이해가 모여 사랑이 된다는 말 너무 귀하지 않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