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조회 수 11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면역세포의 세계에 ‘相生의 룰’ 있다 (동아사이언스 2004년 8월 20일)

T림프구는 어떻게 많은 종류의 병원균을 인식하고 공격할까. 먼저 흔한 감기에서 아프리카 오지의 희귀한 질병까지 대처할 수 있도록 다양한 T림프구를 갖추는 것이 한 방법이다. 노래방에서 분위기에 따라 잘 부르는 애창곡의 레퍼토리가 다양하면 좋듯이 T림프구도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인체에서 세포의 수가 제한돼 있기 때문에 T림프구의 ‘레퍼토리’에도 한계가 있다. 우리 몸의 T림프구는 항상 일정한 수에서 최대한의 다양성을 유지하려고 한다. 이 문제는 지난 10년간 풀리지 않는 비밀이었다.

최근 한국 과학자가 이 비밀을 풀었다. 미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암연구소(NCI)의 박정현(朴正昡·37·사진) 박사가 세계 최고의 면역학회지인 ‘이뮤니티(Immunity)’ 8월호에 처음으로 해결책을 제시했다. 박 박사는 18, 19일 이틀간 본보와의 e메일과 국제전화 인터뷰에서 그 비밀을 털어놓았다.

박 박사는 T림프구가 살아남기 위해 ‘인터류킨7’이라는 호르몬을 서로 차지하려고 경쟁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인터류킨7은 T림프구에게 ‘여기 공간이 충분하니 살아가라’는 생존신호를 보낸다.

체내에는 일정한 양의 인터류킨7만 존재한다. 때문에 경쟁에서 승리한 소수의 T림프구만 살아남고 결국 T림프구는 특정 종류만 남아 다양성을 상실하게 될 것이라고 예견돼 왔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아 이는 ‘경쟁과 다양성의 패러독스’로 불렸다.

이 문제를 푸는 데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했다. 박 박사는 아버지인 박순영 교수(연세대 철학과)의 조언을 곰곰이 새겨들었다. 사회에는 경쟁만 있어서는 안 되고 서로 나눠주며 양보하는 일이 필요하다는 것.

박 박사는 “생태계에서 항상 강자만이 살아남는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T림프구를 살펴보니 다른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역설적으로 한번 인터류킨7의 생존신호를 받은 T림프구는 12시간 동안 다시 경쟁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던 것이다. 그동안 인터류킨7을 다른 T림프구에게 양보한 셈이다.

구체적으로 T림프구는 표면에서 인터류킨7을 받아들이는 수용체를 세포 안으로 거둬들이고 한동안 내놓지 않는다. 박 박사는 이때 중요하게 관여하는 유전자도 밝혀냈다. ‘GFI1’이라는 유전자가 인터류킨7 수용체를 내놓지 못하게 억제한다는 것.

이는 형질 전환으로 GFI1 유전자를 없앤 쥐 실험에서 확인됐다. 이 쥐의 T림프구는 보통 T림프구와 달리 인터류킨7의 생존신호를 받은 후에도 계속 수용체를 내밀어 인터류킨7을 독식하려 든다. 이런 ‘이기적’ 행동으로 전체 T림프구의 수와 다양성은 줄었다. 따라서 전체 면역시스템의 기능이 떨어지고 쥐는 채 3개월도 못돼 죽었다. 정상 쥐의 수명은 2년이다.

박 박사는 “이번 연구는 면역계 질환인 백혈병이나 에이즈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백혈병 환자에게 골수 이식을 한 후나 에이즈 치료 후에 인터류킨7을 투여하면 T림프구의 면역시스템이 정상적으로 회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미국에서는 인터류킨7을 골수 이식 환자에게 투여하는 초기 임상실험이 시도되고 있다.

박 박사는 연세대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뷔르츠부르크대에서 면역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5년간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근무한 후 2001년 7월부터 NCI의 정식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39 소금섭취 많이 할수록 좋다? 서홍근 2008.12.21 1824
1638 축하합니다, 김미숙씨 이진숙 2003.01.14 1825
1637 33기 태국프로그램 현장에서 - 2 Saraburi 2002.02.04 1826
1636 김진복님...<눈은 눈으로,이는 이로 갚으라> 장동기 2007.05.19 1826
1635 그리움~ 이현희 2008.07.24 1826
1634 41기 봉사자에게 저도 화이팅 타로파 2002.12.22 1828
1633 Re..내 마음의 강물 남양우 2003.03.19 1828
1632 성장판 자극으로 키를 크게 할 수 있나요? lee soo kil 2006.12.17 1828
1631 [re] 성행위에 관한 강의 내용에 관한 한 가지 궁금한점 김진복 2006.12.19 1828
1630 박사님 질문요~^^(안식일과 주일에 관한 질문) 정지영 2007.08.17 1828
1629 행복하십시요 감사함 2003.06.01 1829
1628 6년째 체력관리를 하고있는 국제선수들! file 백예열 2004.03.23 1829
1627 빌게이츠, 건강문제 연구에 2억달러 지원 최동규 2003.01.28 1830
1626 박진숙님....지구가 창조된 일주일에 대한 답글입니다. 장동기 2008.03.19 1830
1625 다들 뵙고 싶네요.. 반선근 2009.08.17 1830
1624 현대의학은 우울증을 어떻게 치료할까? sfmold 2004.04.07 1831
1623 [re] 암은 뉴스타트만으로 올바른 치유를 이룰 수 있습니다. 이상구 2007.07.15 1831
1622 2007 하계 청년 프로그램 참가자 인데.. 전화번호 때문에.. 송경현 2007.07.26 1831
1621 [re] 미니세미나 신청했고 투석을 할까 말까 망설이고있는데 Admin 2005.06.26 1832
1620 조석훈 선생님. Jane Lee 2008.08.16 1832
Board Pagination Prev 1 ...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 214 Next
/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