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조회 수 168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동아일보] 새 항암단백질 국내연구진 발견 - 서울대 김성훈 교수

암 발생을 억제하는 새로운 단백질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견됐다.

서울대 약대 김성훈(金聖勳·46·사진) 교수가 이끄는 단백질합성효소 네트워크 연구단은 27일 쥐의 세포 내에서 효소 옆에 혹처럼 붙어있는 작은 단백질(p18)이 강력한 암 억제기능을 가진다는 사실을 처음 규명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부의 창의적 연구진흥사업 지원으로 이뤄졌으며 세포생물학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지인 ‘셀(Cell)’ 28일자에 게재됐다.

연구단은 쥐의 수정란에서 p18을 만드는 유전자에 조작을 가한 후 수정란이 어떻게 성장하는지 관찰했다. 연구 결과 p18 유전자의 기능을 완전히 없앴을 때 수정란은 며칠 이내에 모두 죽었다.

또 유전자 일부의 기능만 상실시켰을 때 절반이 죽고 나머지는 1년 반 후 백혈병을 비롯한 여러 가지 암에 걸렸다.

p18의 존재는 30여 년 전에 알려졌지만 그 기능이 규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교수는 “인체가 자외선이나 각종 유해물질에 노출되면 유전자가 손상돼 심한 경우 암이 발생한다”며 “p18은 손상된 유전자를 수선하는 단백질의 하나”라고 말했다.

연구단은 실제로 백혈병과 간암 환자에게서 p18 유전자가 손상돼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 기사출처 : 동아일보 임소형 기자 2005.01.2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59 [re] 관리자님 이상구 박사님 성경강의 목록을...... 관리자 2004.12.15 1578
1758 가을빛에 녹아든 주전골의 단풍. 조석훈 2011.10.29 1577
1757 강의 10번의 mp3의 다운로드가 안되고 있습니다. 전성희 2007.05.26 1577
1756 [하나님의 은총으로 꼭 승리 하시는 new start 가 되세요 matthew yoon 2006.04.24 1577
1755 이상구 박사 초청 시카고 한마음 교회 제 7회 건강세미나 새 생활센터 2005.04.27 1577
1754 박사님께 다시 질문드립니다. 강상훈 2006.11.23 1576
1753 난 어느덧 병을 즐기고 있다 프로이트 2004.05.13 1576
1752 Happy Ssong ! 설브 2003.10.27 1576
1751 박사님 안녕하세요-질문요^^ 이명원 2006.10.12 1575
1750 뉴 스타트 상설학교가 첫 걸음을 시작하였습니다. ... 이미경 2006.06.14 1575
1749 미니세미나 어러분들과 하조대에서 남양우 2003.04.15 1575
1748 Re..모든 질병은 유전자의 변질입니까? 알고파 2002.12.25 1575
1747 Re..미네랄 관리자 2002.11.22 1575
1746 답글 부탁드립니다. 조윤정 2002.04.07 1575
1745 아가다 박사 초청 뉴스타트 세미나 백균희 2001.09.27 1575
1744 안녕하세요.. 안정임 2001.08.13 1575
1743 [re] 원용자 회장님 보세요 원용자 2007.04.11 1574
1742 Re..휴식을 좀 취할수 있을까요? 관리자 2004.07.28 1574
1741 안녕하세요. 저 46기 김주용이에요. 김주용 2003.07.22 1574
1740 쉼이있는곳에 글써주시는 지찬만님 김영상 2006.10.12 1573
Board Pagination Prev 1 ...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 214 Next
/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