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조회 수 215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다음 글에 대한 답글입니다.
박사님 강의와 뉴스타트로 인하여
새로운생활습관과 창조주이신 하나님에 대하여 참사랑을 깨닫고있는중입니다.
항상 애써주시는 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
------------------------------------------------------------------------
요즘 건강에 관심이 많아서 개인적으로  서점에 가서 책을 구입하여읽던중에
물마시는 법에 관하여 있길래  따라해보았더니 뱃살도 빠지고 좋은것 같던데
힘이 좀 딸리는것이 부작용인것 같습니다.
식사 전후로 2시간 이내에는  절대적으로 국도 찌게도(건데기는 젖가락사용) 물도 마시면 안되고 식후에2시간 후에 마시고....

3식말고는 간식으로도 과일이나 이런것도 먹어서는 안되며 과일이나 떡도
3식시간(식사시간)에 먹으라고 합니다.
근데,보통 박사님이나 다른분들은 아침에 식전에 일어나서 좋은물 한잔과
특별한 시간은 없지만 좋은물은 충분히 마시라고하시는것 같은데...
지식이 부족한 저로써는 무척 헷갈립니다.
물마시는 시간에만 마시면 물먹을시간이 충분치 않아서 힘이드는데...
그책에서는 그래도 우리 일상생활에는 충분한 수분이 있어서 일부러 많이 안먹어도
괜찬다는 이론인것 같습니다.
박사님의 답변 기다립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답 글
물이 뱃살을 빼주지는 않습니다.
운동과 건강식의 결과입니다.
오전 중에 물을 마시지 않으셨다면, 너무나 안타깝구만요, 의학적으로는 오전에 물이 더 필요하거든요, 밤새 내내 수분 공급이 되지 않았으니 온 몸의 세포들이 얼마나 목이 마랐겠습니까? 그리고 수분공급이 오지 않으므로 노폐물을 배설하기 위하여 신장에서 소변을 만들어주어야 하는데 그 중요한 일도 못했으니 얼마나 노폐물이 혈액 속에 축적 되어 있껬습니까? 참으로 많은 경우에 전혀 의학적 기본 상식에 어긋나는 주장을 근거없이 하시는 기사나 글들을 자주 봅니다.

정하늘님의 말씀이 맞습니다.
우리는 하루에 7-8잔의 물이 필요합니다. 아침에 기상하는 순간에 가장 많이 필요하므로 그 때에는 두잔정도는 마셔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물마시는 것을 잊었을 때에는 식사 직전후라도 물을 마셔주셔야 합니다.
너무 부분적인 규율만을 주장하는 비상식적인 가르침에 주의 하십시요.
밤10시 이후라도 목이 마르면 반드시 물을 마셔야 합니다.

강의를 좀 더 자세히 들어주셨으면 합니다. 모든 것을 합리적으로 하는 것이 뉴스타트입니다. 합리성에 초점을 맞추시고 다시 뉴스타트를 복습하시면 여러 부분에서 건강이 좋아 지실 것으로 확신합니다.
그리고 참고로 다음 글을 다시 올려드립니다.

다음 질문에 대한 답글입니다.

약수를 받아다가 마시고 있습니다. 물은 끓인 물은 소용이 없다고 해서요.
그런데 아무래도 물통에 받아다 놓고 먹으니 7일정도 소요 되는 거 같아요.
그렇게 되면 혹시나 통속에서 미생물 그런 게 번식하지는 않을런지요?

오히려 좋은 물 먹을려다가 나쁜 물을 먹게 되는 건 아닌가 모르겟네요.
숯이 정수 기능이 있으니 약수통 물통 안에 숯을 넣으면 좀 더 안전하게
약수의 성분은 지키면서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을까요?

서울의 수돗물은 끓이지 않으면 안 되고 일반 정수기도 사실 믿을 만큼 정수가
되는 거 같지 않아서요.
          ****************        *********       ***************
답 글
“끓인 물은 죽은 물인가?”

약수는 본질적으로 전혀 정수과정을 거치지 않는 순수한 지하수입니다. 이 순수 지하수가 좋은 점은 물속의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화학물질들이 첨가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어느 지역의 약수에는 수돗물보다 미생물 수가 더 다양하며 많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물이 미생물에 심하게 오염되어 있지 않고 어느 정도 미생물들이 있더라도 위액 속의 강력한 위산 때문에 거의 죽어버립니다.

그러나 약수의 문제점은 아무도 모르는 오염원이 있어서 화학적 오염이 되어 있을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만약 오염원이 전혀 없는 약수라면 미생물이 어느 정도 있더라도 화학적으로 순수한 점에서는 약수가 수돗물보다 좋겠습니다. 약수에 숯을 넣으시면 화학적 오염은 잘 제거 될 수는 있지만 미생물을 제거하는 데에는 비효율적입니다.

미생물에 대한 염려가 있으면 약수를 끓여서 마시면 됩니다. 그러나 끓인 물은 소위 '죽은 물'이라고 오해되어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꺼려하는 기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물을 끓이면 좋은 점도 있습니다. 미생물들도 죽이고 물속에 녹아있는 염소나 다른 오염가스들을 배출시켜버리는 좋은 점이 있지요.

그러나 물을 끓이면 물속에 녹아 있던 산소도 함께 배출되어버려서 물속의 산소의 농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물을 끓여서 병에 넣고 마개를 막아서 냉장고에 넣어 식힌 후에 금붕어를 그 물 속에 넣으면 물고기가 건강하게 살 수가 없지요, 산소가 부족해서지요. 그래서 죽은 물이라고 부르는 것 같은데, 그것은 물고기들에게는 확실히 죽은 물이지요. 왜냐하면 물고기들은 폐가 없고 아가미로 물속에 녹아 있는 산소를 흡수하면서 살고 있으니까요.

그러나 인간은 계속적으로 산소를 공기로부터 호흡하여 섭취하고 있기 때문에 산소가 부족한 끓인 물을 좀 마셨다고 해서 전혀 문제가 될 것이 없습니다. 결국 인간은 공기로부터 산소를 섭취하게 되어 있는 것이지 물로부터 산소를 섭취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끓인 물도 식혀서 공기에 노출시켜 놓으면 공기 중의 산소가 그 물에 점차 녹아들어가게 되어 있습니다.

숯은 정화기능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숯이 미생물은 제거하지 못합니다. 숯의 탄소는 항생제로서는 작용하지 않습니다. 탄소는 물의 냄새를 제거하거나 다른 오염 가스를 제거하는 데는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정수기들은 필터만 정기적으로 교채 하여 주시면 충분히 신뢰할 수 있습니다.

물에 대하여 너무나 과민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이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건강에 가장 중요한 것은 "뜻"이며 그 뜻에 따라 결정되는 '생활 습관'입니다. 음식이나 물에 대하여 너무 과민하면 그 자체가 스트레스가 되어 별로 유익하지 않게 되어버릴 수도 있지요. 뉴스타트에서 가장 강조하는 것이 진선미가 가득한 사랑을 믿음으로 받아드리는 것이 아닙니까?

물은 끓인 물이나 냉수나 깨끗한 물이면 됩니다. 그러나 건강식, 운동, 공기, 절제, 휴식 들이 더 중요하고 그 중에 제일은 사랑입니다.
부디 "물스타트" 보다는 진정한 "뉴스타트 "로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기를 바랍니다.
뉴스타트 잘 하시고 계시겠지만, 다시 한 번 더 재확인 하시기를 바랍니다.
마시는 물의 양, 마시는 방법 등은 잘 아시고 계신다고 믿습니다. 궁금하시면 뉴스타트에 대하여 저희 홈페이지를 이용하셔서 더 깊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39 [re] 바다, 돼지고기, 개고기 이상구 2006.09.04 2072
1038 [re] 미니세미나 신청했고 투석을 할까 말까 망설이고있는데 Admin 2005.06.26 1832
» [re] 물마시는 습관과 올바른 방법은?? 이상구 2006.09.05 2152
1036 [re] 무엇부터 해야 할지? 김성욱 2008.08.03 1711
1035 [re] 무슨 요일이 안식일입니까 이상구 2007.10.17 1898
1034 [re] 몸에 물혹. 이상구 2007.06.27 2220
1033 [re] 목회자세미나 1기, 2기 강의에 관하여 Admin 2005.08.26 1753
1032 [re] 목빠지게 박사님의 말씀을 기다리는 김동석씨의 부탁입니다 이상구 2006.10.29 2036
1031 [re] 모태감염간염도 유전자 변질 때문입니까 이상구 2008.01.24 2037
1030 [re] 모순 덩이의 하나님에 관한 인식. 이상구 2008.03.19 1859
1029 [re] 면역력이 약해지는지 김병용 2005.09.29 1782
1028 [re] 멈출수 없는 이유-홈페이지 관련 답변 Admin 2008.10.20 2420
1027 [re] 먼저 강의 동영상을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옥윤철 2010.08.17 1856
1026 [re] 먼저 강의 동영상을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Admin 2010.08.16 3028
1025 [re] 머리(오른쪽)가 멍한 상태라면... 이상구 2007.02.27 1791
1024 [re] 말씀과 인간관계적용-박사님!질문요? 이상구 2007.04.29 1593
1023 [re] 만성신부전증 으로 인한 고민 Admin 2005.07.06 1979
1022 [re] 만성신부전증 Admin 2005.08.05 1999
1021 [re] 당뇨성 신부전증의 신장세포도 재생합니다. 이상구 2006.12.14 1909
1020 [re] 다운로드가 안되요 이홍재 2005.08.15 1533
Board Pagination Prev 1 ...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 214 Next
/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