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조회 수 22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과일에는 당분이 많습니다.
채소에는 과일섬유질과는 다른 훨씬 더 강인하고 투박한 섬유질이 줄기나 잎사귀나 뿌리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섬유질들은 소화가 되거나 분해되지 않고 끝까지 대변 속에 남아서 다른 종류의 섬유질들과 함께 수분을 포함하며 장의 벽을 청소하여 대장암의 발생을 막아주고 또 대변의 부피를 크게 하여 대변이 잘 나오게 하므로 변비를 회복시켜주지요.

그런데 과일과 채소를 동시에 먹게 되면 과일의 당분이 그 강인하고 긴 섬유질에 흡수가 됩니다. 물론 다른 미세한 섬유질도 당분을 흡수해서 당분이 너무 급속히 흡수되는 것을 막아서 혈당이 짧은 시간 내에 과도하게 올라가는 폐단을 막아주지요. 이 미세한 과일섬유질들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서 흡수하고 있던 당분들을 점차적으로 내어주어 혈액 속으로 서서히 흡수되게 하지요, 그런데 이 채소의 잎사귀, 줄기나 뿌리의 강인한 섬유질에 흡수된 당분이 과일의 동시섭취로 너무 많아지면 소장에서 당분이 흡수되고 난 후에 그 섬유질 속에 남아 있는 당분이 너무 많게 됩니다.

이렇게 과잉하게 남은 소화되지 않은 당분은 자연히 장내에서 박테리아들에 의하여 발효하게 됩니다. 당분이 발효되면 알코홀이 되고 알코홀이 더 발효되면 알데하이드를 거쳐서 초산(빙초산)이 되어버리지요.
그러므로 과일이 건강식일지라도 과잉섭취를 하는 것은 좋지 않지요.
왜냐하면 혈당을 너무 올릴 수도 있고, 발효된 독성 물질들(알코홀, 알데하이드, 초산)을 간에서 해독해야 됩니다. 간에 무리가 되는 것이지요.
그러므로 소화기능이 약하신 분들이나 간이 약한 사람들은 과일의 과잉섭취나 과일과 채소를 같은 식사시간에 먹는 것을 주의 해야지요.

그러나 소화력이 좋은 사람들은 별로 큰 문제가 없기 때문에 너무 신경 쓰실 필요는 없습니다. Mrs. White 도 “소화력이 약한 사람들”은 과일과 채소를 함께 먹는 것이 “좋지 않다”  라고 기록하고 있지요. 과알은 식사전이나 식후 한 시간 운운 하는 것은 과도한, 극단적인 소화불량환자들에게 해당하는 말이라고 생각됩니다.

감사하는 마음, 주님의 사랑이 충만한 그 생활 속에서 받아드리는 “생기(복)”이 가장 중요합니다.
건강하십시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79 멋을 제대로 낼 줄 아는 남자~^&* Iloveyoumore 2018.11.27 130
2178 멋쪄여~~^^ 윤지선 2000.07.14 3387
2177 멋쪄여~~^^ 윤지선 2000.07.14 2100
2176 메리와 크리스마스가 만나기 전날 ^^* 지수기 2003.12.24 1406
2175 메소포타미아 문명(기원전 3000년경)과 바벨탑 장동기 2010.08.21 2447
2174 멘토어 (Mentor) 정하늘 2009.08.12 2403
2173 면역세포의 세계에 ‘相生의 룰’ 있다 file 양박사 2004.08.28 1145
2172 명상에 잠기면서.... 유기농 2004.05.03 1177
2171 명상에 잠기면서...... 알카에다 2003.12.05 1395
2170 명주누나 소식 아시는 분 양유창 2001.08.18 1594
2169 모기와 파리,독초 등을 왜 하나님께서 창조하셨을까요? 장동기 2007.03.16 2056
2168 모니카에게 드리는 아이디어 선물 file 지킴이 2003.07.27 1734
2167 모두 건강하시기를 주기중 2002.01.07 1613
2166 모두가 아름다운 사람들 김현숙 2008.01.24 1881
2165 모두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ㅡ^ 김연경 2003.01.31 1656
2164 모두들 잘 지내시죠??^-^~♡ 고수정 2001.09.14 1619
2163 모두들~~~~힘내세요~~~ 이상완 2006.07.17 1455
2162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 정금실 2003.05.06 1470
2161 모든 질병은 유전자의 변질입니까? 알고파 2002.12.25 1529
2160 모든분들께 감사드리며 김용준 2010.06.22 2145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214 Next
/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