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암 고치는 ''말기암 의사''
이희대 강남세브란스 암센터 소장…두 지팡이 짚으며 환자 만나
6년전 대장 절반 잘라내는 수술… 11번 재발
간과 골반뼈에 전이…매주 2~4건 유방암 수술 집도
4기 암을 재생의 5기로 "함께 치료받으며 용기줘서 편해"
전국 말기 환자들 많이 찾아와 ''항상 즐겁고 매사 감사를'' 당부


그의 얼굴에는 미소가 떠나지 않았다.

골반으로 전이된 암(癌) 때문에 한쪽 다리를 못 쓰게 되어 양쪽에 지팡이를 짚고 다닌다는 것 말고는 그가 암 환자라는 사실은 찾아 볼 수 없었다. 그는 병원에서 누구보다 맑고 밝았다.

대장암 환자인 연세대 의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암센터

이희대(李羲大·56·외과) 소장 이야기다. 20여 년간 암 치료를 하던 암 전문의가 암에 걸려 싸우고 있는 것이다.

유방암 수술 분야에서 손꼽히는 명의(名醫)인 그는 2003년 1월
대장암 진단을 받았다. 벌써 6년이 지난 일이다. 당시 그는 대장을 절반 잘라내는 수술을 받았다.

이후 항암치료를 받았지만 암은 간과 왼쪽 골반으로 번졌다. 대장암 4기(期), 즉 흔히 말하는 '말기'(末期)가 됐다.

그의 암은 집요했다. 지금까지 모두 11번 재발했다.
이로 인해 간과 골반 뼈 일부를 잘라내는 수술을 5번 받았고, 다섯 번의 고강도 방사선 치료도 받았다. 3~4개월씩 계속되는 항암치료도 두 번 받았다.

그가 환자들에게 처방했던 모든 치료법을 똑같이 받은 것이다. 그의 교수실 한쪽 벽에 걸린 대문만한 크기의 칠판에는 그가 이제껏 받아온 치료가 순서대로 빼곡히 적혀 있다. 더 이상 쓸 칸도 남아 있지 않았다. 하지만 그는 좌절하지 않았다.

"인생의 모든 고난은 동굴이 아니라 터널입니다. 언젠가는 끝이 있고 나가는 출구가 있죠.
그 고행을 이기면 예전보다 더 행복한 삶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런 희망이 나를 이렇게 버티게 해줬지요."

그는 골반 뼈 전이 암 치료 후유증으로 다리 전체를 관장하는 대퇴신경이 마비됐다.
이 때문에 두 개의 지팡이에 의지해 걷는다. 그럼에도 이제껏 환자 진료를 놓지 않았다.

지금도 매주 2~4개의 유방암 수술을 집도하고 있다. 체력적으로 부담이 되지 않느냐는 질문에 그는 남들보다 약간 느릴 뿐 수술자체는 더 꼼꼼하게 하게 되더라고 말했다.

"많은 의사들이 육체의 질병만 고치려 합니다. 현대의학으로 환자를 낫게 하건 그렇지 못하건
육체와 영혼을 함께 어우르는 치료야말로 진정 환자를 행복하게 하죠. '환자 의사'인 제가 그걸 많은 사람들에게 전해주고 싶은 겁니다."

암을 고치는 의사가 암 환자라는 소문이 나면서 전국의 암 환자들이 그를 찾는다.
상당수가 암이 재발하고 폐나 뼈에 전이된 환자들이다. 하지만 그 앞에서는"뭘 그런 것 같고 그렇게 시무룩하냐"는 핀잔을 듣기 일쑤다.

유방암이 척추에 전이돼 이 교수에게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김모(여·67)씨는
"암이 한두 번 재발한 것 가지고는 교수님 앞에서 명함도 못 내민다"며 "의사가 같이 치료를 받으며 용기를 주니 마음이 편하다"고 말했다.

"저는 암 환자들에게 치료법이 남아 있다는 것만으로도 감사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절대 절망해선 안 된다고 말하죠. 두려움이 골수(骨髓)를 녹여서 면역력을 떨어뜨리거든요."

그는 매주 목요일 저녁 병원 외래에서 암 환자들을 위한 예배시간을 갖는다.
단순한 종교행사로 그치지 않고 암 투병에 대한 요령도 알려주고 질문도 받는 강좌성격의 자리다.

여기에 매주 40~50명의 환자들이 모인다. 작년에는 환자들에게 투병 요령을 알려주겠다는 뜻에서자신의 투병기를 책으로 펴냈다. 책 제목은 그의 이름을 따서 '희대의 소망'으로 붙였다.

"암이 사람을 죽이는 게 아닙니다. 자신이 갖는 절망 때문에 죽는 거죠.
저는 암에 걸리기 전보다 지금이 더 행복합니다. 작은 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알게 됐고, 가족과의 정도 더 깊어졌기 때문이죠."

그는 암과 요즘의 경제난에는 공통점이 있다고 했다. 예측할 수 없이 다가온다는 것과
참기 어려운 고통을 동반한다는 것이다.

"사실 저도 괴로울 때가 있죠. 참을 수 없는 고통으로 죽음의 두려움이 밀려올 때마다
내가 나아서 행복해지는 꿈을 꾸고 그것을 미리 당겨다 갖다 놓습니다. 미래의 기쁨을 빌려와서 지금 누리는 거죠."

그는 건강하게 살았던 사람도 죽고 나서 부검해 보면 몸 속에서 암세포가 나올 때가 많다고 했다.
암세포는 항상 우리 몸 안에 있다는 의미다.
"암은 마음의 병입니다. 마음이 바쁘고 스트레스를 이겨내지 못하면, 그 틈을 타서 암 세포는 자랍니다.
항상 즐겁고, 매사를 감사하게 여기세요. 저를 보세요. 암 4기 상태로 6년 동안 일할 거 다하면서 잘 살지 않습니까. 새로운 암 5기죠. 희망이 우리를 강하게 만듭니다."



본인 스스로가 말기암 환자로 암의 고통속에 암환자들의 치료에 진력을 다하고 있는강남세브란스 암센터 이희대소장이 암환자들 위하여 환자가족과 주변인들에 조언을 했다.이소장은 아주 절제된 생명의 말과 환자의 곁에 함께 할 것을 주문했다. /조선일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99 유제명박사님을 모시고 미니세미나를 개최합니다. 박용범 2003.12.06 1503
2898 미주 이상구 박사 뉴스타트 세미나 예정표 전춘식 2005.04.22 1503
2897 이상구박사님. 안녕하십니까? 김청산 2003.05.09 1504
2896 Re..가르쳐 주세요 관리자 2003.06.13 1504
2895 사랑에도 유통기한이 있을까... 알카에다 2003.12.17 1504
2894 정말 고맙습니다 횡성교회 2004.09.01 1504
2893 기념사진입니다(2) file 신인섭 2002.01.17 1505
2892 Re..유전자는 죽지 않는지? 모르는 사람 2002.11.23 1505
2891 대구 칠성교회 세미나 화보 입니다. 이미경 2005.11.04 1505
2890 7기 강의 내용 읽을 수 없네요 이광진 2006.01.08 1505
2889 더 많은 이들을 위하여 이효종 2002.11.07 1506
2888 Re..진심으로 감사드려요! 써니 2002.11.23 1506
2887 Re..하라는 대로 했더니 써니 2003.05.04 1506
2886 Re..유박사님께 질문합니다 유제명 2003.07.07 1506
2885 Re..Your hobby is tennis...Is it right? Ricky 2003.10.17 1506
2884 Re..고마운 잉꼬,꾀꼬리 환상적인 부부 예원혜 2003.11.26 1506
2883 예수님은 어떤 식사를 하셨습니까? 김연섭 2006.09.15 1506
2882 Re.제 모뎀은요... 김성희 2002.10.30 1507
2881 Re..모니터결과 김철우 2002.11.01 1507
2880 서울은 모처럼 파아란 하늘입니다..*^^* 꼬꼬 2003.03.03 1507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214 Next
/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