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조회 수 34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Bassoon Concerto in E Minor RV 484


비발디 바순협주곡 마단조


Antonio Vivaldi (1678 ~1741)


지금 소개하는 바순은, 독주악기로 보다는 통주저음의 일부를 담당하는 반주악기의 역할을했던 악기이지만, 비발디의 손에 이르러 이토록 애수띄고 개인기 풍부한 악기로 바뀌게 된 것이다. 곡은 그의 다른 작품에 비교해 봤을 때 비발디의 곡이라고는 생각 할 수 없을 만큼 애수를 띄고있다. 그것은 비발디가 이 악기의 성격을 제대로 간파했음을 보여주는 것이고, 또 다르게는 비발디란 작곡가가 그리 쉽고 발랄한 곡만을 쓰는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입증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Bassoon [바순]



바순은 외형적으로나 그 소리가 다분히 회화적이다. 이 악기의 공기통은 그 길이가 9피이트 2인치이고, 첼로의 개방현인 C선 바로 아랫소리인 Bb음(가장 낮은 음)까지 낼 수 있고. 악기는 2등분으로 되어 있어 취급하기가 편리하게 되어 있다. 바순은 단풍나무로 만들고 네 개의 부분 즉 나팔부, 저음부분. 부트(밑동아리),날개부분으로 되어 있다. 밑동아리와 날개부 분은 습기 (moisture)에 대한 고무가 부착되어 있다. 폭은 1/2인치이고. 더블,리드...잉글리시 호른의 확대형이라 할 수 있다--에는 크루크(Crook)또는 보칼(bocal)이라고 불리 우는 예쁜 형으로 된 구부러진 금속성 마우스 파이프가 붙어 있어서, 후자는 날개부분의 위쪽에 꽃혀져 있다. 밑동아리 부분의 윗쪽 고리에 붙어 있는 목은 악기를 견지하고 있기 때문에, 손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바순 주자 가운데에는 밑동아리에 오른손 손바닥을 고정시키고 연주하는 사람도 있다.


오른손을 주자 우측 허리 가까이에 밑동아리 부분을 붙이고 왼손은 저음부분과 날개부분을 함께 잡는다. 이 위치에서는 엄지 손가락의 키이는 주자에 면해 있는(악기의 뒷 부분)쪽에, 다른 손가락은 주자의 보이지 않는 정면에 놓이게 된다. 관은 밑동아리부분 안쪽에 U자형으로 구부러져 있는 곳이 두어 왼손은 저음부분에 있는 가장 낮은 음과 날개부분에 있는 가장 높은 음을 함께 컨트롤한다.


공기통은 원추형으로 되어 있고 구부러진 부분 족의 좁은 끝은 1/8인치로 되어 있다. 나팔부분은 I.5인치이다. 바순의 피치는 구부러진 부분의 끝이 있는 리드의 위치를 바꿈으로 서만 변화 시킬 수가 있다. 이 악기는 이조악기가 아닌 C조 악기이다. 날개부분 그 자체는 관 벽(the wall of the tube)을 두껍게 하여 소리구멍은 경사지게 뚫려져 있는데, 내면에는 피치에 따라 적당한 배치로 되어 있다, 그러면 외면에서는 손가락이 닿을 수 있도록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되어져 있다. 밑 동아리부분의 구멍도 경사지게 뚫려져 있다. 이와 같은 특수성과 관이 꺾여서 겹쳐진 상황 때문이 운지법은 언뜻 보아서 복잡하게 느껴진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허종태님의 자연영상 유튜브 채널입니다 1 webmaster 2020.02.09 737
269 터키 카파토키아 (Turkey - Cappadocia) 임경환 2007.01.18 2443
268 터키 쿠사다시 항구 (Turkey kusadasi Port) 임경환 2007.05.10 2596
267 터키 파목칼레 목화성 (Turkey Camukale) 임경환 2007.03.07 3777
266 투병 일기... Tom cruise 2003.06.14 3731
265 퉁둥굴레 꽃(Polygonatum Inflatum Komaroy) 임경환 2007.06.04 2443
264 틀니...!?!?!? 정하늘 2005.03.11 2401
263 파란하늘이 좋아... 정하늘 2008.08.16 1847
262 팔월의 마지막 날에 가파 2020.09.01 128
261 퍼니 현실 2003.04.20 3552
260 편안함과 친숙함의 차이 지찬만 2010.11.13 3601
259 평범한 행복 지찬만 2007.05.13 2165
258 평범함과특별함 지찬만 2007.07.08 2386
257 평생 지속되는 로맨스 지찬만 2011.04.23 3452
256 평화로운 마음으로 행복 하게 살려면 신충식 2011.05.19 1764
255 평화로운 인연의 숲을 만들고 싶다 지찬만 2009.01.16 2539
254 폐와 임파에 전이된 암들이 사라진 사람 이야기 가파 2021.05.02 583
253 포기하면 안 되지 지찬만 2013.08.17 1191
252 폭설 속의 설악동 뉴스타트센터. 四時春/申澈均. 2014.02.12 1195
251 폭죽..../ 이동영 2003.11.02 3090
250 풀 위에 앉으면 풀이 되라 지찬만 2011.04.02 3421
Board Pagination Prev 1 ...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 148 Next
/ 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