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2007.07.10 20:22

[re] 질문이 있어요..

조회 수 245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님의 질문에 아주 적절하고 성의 있는 답변을 퍼와서 올려드립니다.
저의 생각과 참으로 일치하는 좋은 답변이라고 생각됩니다.

회복에는 특별한 현대의학적 처방이 있을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과민성 방광염은 스트레스에 그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뉴스타트 프로그램은 마음과 몸을 함께 어울러서  종합적인 해결을 성취하는 프로그램이므로 특히 과민성 방광염등의 문제에 가장 합리적이며 효과적인 접근으로 회복하시는 길이라고 믿습니다.

과민성 방광염에 대한 설명:

일반적으로 남자가 정상적인 수분을 섭취하였을 경우에 소변을 하게 되는 횟수는 낮에 5~6회, 밤에 1회 정도가 추가될 수 있으며, 만일 운동을 하거나 많은 활동을 하게 되어 수분의 섭취를 많이 하게 되면 소변의 횟수는 늘어나게 되어 6~7회가 될 수도 있고 7~8회가 될 수도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신경성 빈뇨는 소변의 횟수가 많게 될 정도로 많은 수분을 섭취하지 않았지만 아주 빈번하게 뇨의(소변을 하고 싶다는 생각)를 느끼게 되어 실제로 자주 소변을 하게 되는 증상을 의미합니다.

과거에 소변을 하지 못하게 되어 매우 참기 어려운 고통을 당하게 된 경험이 있었을 것으로 짐작이 되며 그러한 경험이 있은 이후부터 앞으로는 그와 같이 힘겨운 소변의 고통을 다시는 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아주 빈번하게 소변을 하러 가게 되면서 발병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와 같이 지나치게 많은 신경을 쓰게 되는 마음에서 비롯되는 증상입니다.

혹시 과거에 이와 같이 아주 어려운 소변의 고통을 당한 일이 있었는지 기억을 더듬어 보시기 바랍니다. 수업시간이나 승차하는 시간 등 장소적인 제약이나 시간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소변을 하기에 부적절한 환경에 처하게 될 때에만 이러한 빈뇨의 증상을 보이게 되며, 집에서와 같이 소변장소나 소변시간에 대하여 아무런 제약이 없는 경우에는 절대로 빈뇨의 증상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너무 지나치게 걱정을 하면서 점점 우려하는 마음이 커지게 되면 곧 과도한 신경을 쓰게 되는 상태로 진전이 되며 이러한 마음의 상태는 실제적으로 전혀 문제점이 없는 일을 문제화

시켜 주게 됩니다.

예를 들면, 등산을 하는 도중에 많은 개미 떼를 만났다고 가정을 할 때, 어떤 사람은 개미가 많이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면서 그대로 지나 갈 수가 있지만, 또 다른 사람은 저렇게 많은 개미 떼가 나의 몸에 달려든다면 나는 어떻게 될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몸이 갑자기 가려웁게 느껴 질 수가 있으며 그 다음 부터는 개미만 보게 되면 몸에 달려 드는 것 같이 느끼게 될 수가 있으며 실제로 개미 떼의 습격을 받는 고통을 당하게 될 수가 있습니다.

답변자가 생각하기에는 님이 스스로 소변이 마려우면 어떻게 하지? 하는 마음으로 항상 소변에 대한 걱정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점점 실제적인 문제점으로 등장하게 되는 것으로 보여 집니다.

앞으로 시험적으로 며칠 동안만 집에 있을 때처럼 아주 편안한 마음으로 소변에 대하여 전혀 신경을 쓰지 말고 일상생활을 하여 보면 그동안에 스스로 우려하였던 걱정이 매우 허구적인 생각이었다는 것을 스스로 느끼게 될 것이며 다른 모든 신체적인 상태는 아주 정상적이라는 것을 스스로 느껴서 알 수 있게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이제 부터는 편안한 마음으로, 그리고 가급적이면 아주 즐겁고 너그러운 마음으로 일상생활을 하도록 노력하게 되면 지금 까지 님이 우려하던 소변의 문제는 모두 자연적으로 해소가 되리라고 믿어집니다. 그 이유는 원래 모두 정상적인 상태였기 때문입니다. 그 동안에 있었던 소변의 고통에서 하루 속히 벗어나서 아주 편안한 생활이 되시기를 진심으로 기원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존경하는 박사님께 2 그레이스리 2020.10.15 3825
2022 [re] Migraine에 관한 질문 이상구 2008.04.09 2445
2021 [re] 간암 말기인 어머님에 대해서 문의드려요 이상구 2007.08.13 2446
2020 박사님 감사합니다 ^^ 이현희 2008.11.19 2446
2019 Re..도와 주세요 관리자 2004.06.11 2447
2018 [re] 만성신부전으로 투석으 하고 있습니다 이상구 2008.01.18 2447
2017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관리자 2003.11.09 2448
2016 Re.. 8월2일부터 미니세미나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관리자 2004.06.25 2448
2015 [re] 남편의 통풍 이상구 2008.01.10 2448
2014 [re] 도움말씀 이상구 2008.11.28 2448
2013 아내가 우울증이 심합니다. 1 박주엘 2009.02.02 2448
2012 Re..긴급 자문을 구합니다 관리자 2004.05.11 2449
2011 손과발에 땀이 너무....... 박현숙 2008.11.08 2449
2010 가능할까요? 환자가족 2003.08.06 2450
2009 [re] 야뇨증에 대해서 이상구 2007.10.22 2450
2008 숙면은 어떻게 해야하는건가요? 2 아르듀 2014.02.24 2450
2007 급성 신부전증...어찌해야하는지 누나 2003.05.23 2451
» [re] 질문이 있어요.. 이상구 2007.07.10 2451
2005 [re]면역력이 중요합니다. 이상구 2008.02.24 2451
2004 갑상선 유두암 종격동, 뇌 전이 1 제니맘 2014.05.16 2451
2003 뇌척수염에 관한 질문입니다. 고성석 2007.08.10 24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189 Next
/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