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조회 수 1503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박사님 아주 오래만에 글쓰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정신과 사상적인 궁금함 문에 질의드렸었는데, 오늘은 제 딸의 건강문제로 문의드리고자합니다.


22살 먹은 제 딸이, 지금은 잠시 떨어져 살고 있습니다만, 얼마전 유방에 다소 커다란 혹 5개가 발견되어 검진 결과  섬유근종으로 확진받아 다음달 초 병원에 입원하여 혹 제거수술을 받는다고 합니다.  딸은 암은 아니라는 진단에 그나마 위안과 안도감을 느끼는 것같지만,  아빠

인 저의 시각으로 볼 때는 큰 틀에서 바라보면 이것이 나중에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까하는 것입니다.

만약에 제가 딸의 입장이라면 다른 길을 모색하겠지만  딸은 아직까지 뉴스타트나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기에 본인이 원하는대로 일단은 혹제거 수술을 받게 할 것입니다.

박사님 제가 궁금한 것은, 섬유근종이 암은 아닌 양성종양이라고 한다면, 언젠가는 혹이 재발 더 나아가서 시간이 흘러 암으로도 진전될 가능성이 많지 않을까 하는 것입니다.  섬유근종이나 암도 기본적인 그 뿌리는 같지 않는가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혹에 대한 제 생각도 그렇습니다. 제가 어떤 사물에 부딪혀 이마에 큰 혹이 생긴다 하더라도 특별한 조치없이 시간이 흘러가면 원상태로 회복하듯이 유방에 혹도 뉴스타트 생활을 한다면 자연스럽게 없어지지 않을까하는 것입니다. 혹 위치가 외부로 돌출되었는가 내부에서 생긴 것인가 그 차이만 있는 것이지, 기본적으로 외부에 혹이 자연적으로 회복되듯이 내부에 혹도 생활의 질서가 몸에 자연스럽게 자리잡으면 그 혹도 자연스럽게 없어질거라 생각하는데 제 생각이 많는지 궁금합니다.    

베푸는 거 하나없이 염치없게 얻어만 가려고해서 죄송합니다. 박사님.

  • profile
    이상구 2015.12.19 21:56
    양성종양도 악성종양도 유전자의 변질로 생기는 것은 마찬가지 입니다.
    유전자의 변질 정도에 따라서 영성종양도 1기부터 4기, 악성종양도 마친가지 입니다.
    어린 나이에 유전자 변질이 벌써부터 생기어 양성종양이 있다는 것은
    나이가 들수록 악성종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암을 예방하기 위하여 지금부터 뉴스타트를 하는 것이 꼭 필요합니다.
    그러면 양성종양세포도 유전자가 회복되어 정상으로 돌아가고
    동시에 약성종양 발생이 확실히 예방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존경하는 박사님께 2 그레이스리 2020.10.15 3810
3022 다시 닦친 시험 한의숙 2007.03.20 3365
3021 2cm 섬유선종 수술해야 할까요? 1 석현주 2012.05.11 3363
3020 [re] 신장이식후 다시 투석을 하고 있습니다. 관리자 2004.12.07 3363
3019 남성호로몬이 부족한 것 같아요 이학균 2003.11.29 3362
3018 간질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송진숙 2001.06.03 3362
3017 간지러움.. 1 김양희 2010.08.12 3360
3016 [re] 진주종 중이염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이상구 2008.12.20 3358
3015 저는 어찌할까요 1 홍성수 2009.04.11 3355
3014 유박사님께 ? 하영훈 2003.02.20 3353
3013 만성무좀에대하여 1 살구꽃 2010.03.19 3352
3012 Re..이 박사님께 질문 있습니다 관리자 2003.05.15 3352
3011 Re..신부전증이란 무엇인가요? 관리자 2003.12.18 3349
3010 Re..생손알이는 무슨병에 속하는지요 관리자 2003.09.05 3347
3009 대장암 4기 문의 1 김종례 2011.08.22 3344
3008 LA Office에서 영문강의 테이프 전권을 구할수있을까요? 백예열 2001.12.27 3344
3007 [re] 생선도 몸에 안 좋은가요? 이상구 2007.01.04 3342
3006 운동 방법 1 Tweety 2011.05.23 3339
3005 오색생활관 윤강현 2001.10.07 3338
3004 숯가루 복용은요.. 1 아르듀 2010.03.21 3337
3003 타미플루에대한 생각-박사님께 문의_ 1 김나경 2009.11.30 33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189 Next
/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