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조회 수 1608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상구 박사님. 안녕하세요. 


엄마 질병관련 문의를 드리고 싶어서 글을 남깁니다.


엄마는 올해 초 담관내 점액분비성 종양이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서울의 주요병원 및 고신대에서 담도암 소견임)

현재 고신대학교 병원에서 스텐트를 삽입한후 주기적으로 관리를 받고 있는 상태입니다. (엄마가 항암치료나 담관암의 주 치료로 알려진 광역동 PDT치료를 거부하심)


고신대 간담췌센터에서 스텐트 관리를 받으시면서 별도로 가정의학과에서 면역관련 자닥신 주사와 그외 영양제(셀레늄, 아연, 아미노산, 고용량 비타민 C) 주사를 맞기 사작한 상태입니다.


스텐트에 담즙을 비롯한 바이오필름 같은 이물질이 계속 끼이다보니 최소 3달에 한번씩 입원을 해서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도 조영술(ERCP)로 스텐트를 씻어내는 관리를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스텐트 삽입후 1회 관리를 받았습니다.


문제는 이런 방법으로 추후 관리를 하게 되면, 엄마가 병원에 매이게 될 뿐 아니라 체력도 많이 축이 나는 것 같아서 염려스럽습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1)점액이 계속 분비되는 종양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와 2)스텐트에 이물질이 덜 끼이게 하는 음식이나 그외 방법은 없을까? 찾고 있는 중입니다.


도움이 될만한 말씀 있으시면 고언 부탁드리고자 합니다.


엄마는 U TUBE동영상을 통해 박사님 강의를 듣고 계십니다.


저도 박사님의 강의와 인터뷰 관련 자료들을 찾게 되어 읽었고 개인적으로는 엄마가 항암치료를 선택하지 않은 것이 잘 한 선택이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귀한 섬김과 도움에 늘 감사드립니다.

  • profile
    이상구 2020.07.29 09:23
    다음의 두가지 질문을 하셨습니다.
    1)점액이 계속 분비되는 종양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

    답변:
    어떤 종양이든, 종양의 종류와 상관없이 종양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면역력을 강화시키는 방법이 유일한 방법입니다.
    그 이유는 모든 암의 발생원인 자체가 면역력의 약화에 있기 때문입니다.
    면역력을 강화시키는 방법은 면역력이 약화된 원인을 환자 자신이 확실히 이해하여
    그 원인을 생활 습관 속에서 제거하여야 합니다.
    이런 생활 습관 속의 원인을 찾기 위해서는 뉴스타트 강의를 첫 강의부터 순서대로
    집중하셔서 들으시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그러나, 생활습관 속의 원인은 이해하지 못하여
    면역약화의 원인을 제거하지는 못하면서
    면역력을 강화시킨다고 알려진 영양제 치료는 의학적으로 큰 의미가 없습니다.

    2)스텐트에 이물질이 덜 끼이게 하는 음식이나 그외 방법은 없을까? 찾고 있는 중입니다.
    답변 - 암세포가 점액성 물질을 생산하기 때문에 스텐트의 청소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암세포가 계속 활발하게 살아간다면 이 점액성 물질의 생산은 계속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암세포의 활동이 감소되면 이런 점액성 물질을 생산하는 양이 감소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감소현상이 있기 위해서는, 즉 암세포의 활동이 감소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면역력이 강화되어야 합니다.
    면역력이 강화되기 위해서는 1번 질문에 대한 답변대로
    면역력 약화의 원인을 깨닫고
    새로운 건강한 생활습관으로 돌아가시어 면역력을 강화시키시는 길 이외에는
    다른 길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암이든, 코로나든, 간염이든, 독감이든, 천식이든, 아토피든
    면역력 약화의 근본적인 원인을 이해하시어
    그 원인을 제거하시어 면역력만 강화시키시면
    치유가 충분히 가능합니다.

    약물치료나 대부분의 대체요법 등은 원인치료가 아닌 일시적인 증세치료에 불과합니다.
    원인치료를 하시기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습관으로 새로운 출발, 곧 뉴스타트만이
    가장 정직한 길입니다.
    질병의 치료에는 지름길이 있는 듯 보이지만
    질병의 치유에는 지름길이 없습니다.

  1. 존경하는 박사님께

  2. 박사님 뼈전이 암 환자운동 질문드립니다

  3. 소세포성폐암4기로 다섯군데 전이 된 환자 문의 드립니다

  4. 문의 드립니다

  5. 안녕하세요. 류마티스 질문입니다.

  6. 자유의지를 주셨는데.......

  7. 이박사님~~어찌하면 좋을까요??

  8. 폐섬유화증을 치료 할 수 있는지?

  9. 박사님께 질문드립니다 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10. 아버지가 위암 시한부판정을 받았습니다.

  11. 담관내 스텐트 삽입후 관리

  12. 간암 4기 .. 통증이 있습니다

  13. 눈에 대해서

  14. 안녕하십니까? 박사님.

  15. 이상구 박사님께 질문합니다.

  16. 박사님!

  17. No Image 09Aug
    by 이 종현
    2004/08/09 by 이 종현
    Views 1622 

    미국 일정

  18. 아브라함의 믿음/영의 생성 시기

  19. 질문있습니다.

  20. 박사님, 도와주세요

  21. 궁금한 것이 있어요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189 Next
/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