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2023.11.15 18:33

근시성 황반변성

조회 수 356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박사님 안녕하세요 

박사님 덕분에 무조건적 사랑의 하나님을 알게되어

감사합니다  궁금한것이 있는데 

근시성 황반변성으로 글자가 찌그러져 보이는데 

이런것도 뉴스타트로 나아질수 있는지요

  • profile
    이상구 2023.11.16 23:48
    인간의 눈에 망막이 있습니다. 망막의 대부분은 모세혈관이 퍼져 있습니다. 그런데 이 망악의 중심부위 근처에 뇌로부터 뻗어나온 시신경이 와 닫는 부분이 있습니다. 다른부분들은 모세혈관 때문에 붉게 보이는데 이 시신경이 와 닿은 부분은 모세혈관이 퍼져 있지 않고 또 신경조직이 많이 있기 때문에 황색반점, 곧 '황반'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황반변성이란 이 황반의 부위에 변질이 일어나는 것을 뜻합니다.
    변질 중에 가장 중요한 변질은 시신경들이 파괴되는 변질입니다.
    이 시신경이 파괴되는 원인은 염증반응이 있습니다.
    염증반응이란 T-세포를 포함한 다른 면역세포들이 조직을 공격할 때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왜 이런 염증반응이 일어나는지는 아직도 의학적으로 정확하게 알지는 못합니다.
    어떤 학자들은 병균이나 바이러스의 감염 때문이라고 추측하기도 합니다만 저의 생각으로는
    아주 미약한 주장이라고 생각됩니다. 이러한 감염현상이 이 염증반응의 원인이 아니라면
    T-세포의 변질로 인한 자가면역현상으로
    염증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그 다음 황반파괴의 원인은 노화라고 합니다.
    그러나 80-90% 이상의 노인층은 황반변성이 오지 않고 또 젊은 층에서도 오는 것을 보면
    단순히 나이가 많아서 생기는 질병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고 봅니다.

    그 다음, 최근에 황반변성 환자의 유전자를 겁사해본 결과
    여러 유전자들에 변질이 와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유전자들의 변질은 결국 생각과 생활습관 때문입니다.

    그 다음, 항산화제나 비타민 요법이
    어느정도 황반변성의 속도를 늦추어 줄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역시 환자의 생활 속에서 충분한 건강식생활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는 뜻입니다.

    위의 여러 상황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에
    황반변성은 생각과 생활습관의
    총체적인 문제점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황반변성은 뉴스타트로 회복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뉴스타트로 자가면역성을 회복시키고
    생활습관을 회복시키면
    인간의 세포 속에 입력되어 있는 자연치유 프로그램이 다시 작동하여
    치유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뉴스타트로 회복되신 분이 있었습니다.
    황반변성에서 모세혈관의 과잉증식 현상은
    유전자의 변질이나 염증반응의 결과라고 추정됩니다.

    현대의학적으로 이 비정상 모세혈관을
    레이져로 파괴하고 또 약물로 모세혈관 생성을 억제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증세치료일 뿐입니다.
    원인을 제거하여 치유하는 길은 뉴스타트 밖에는 없는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존경하는 박사님께 2 그레이스리 2020.10.15 3822
202 박사님, 또다시 회복할 수 있지요? 2 지연 2020.04.22 712
201 췌장낭종도 뉴스타트로 고칠 수 있을까요? 2 러키 2020.04.23 851
200 기도 연골 관련 추가 문의드립니다! 1 yunjee4464 2020.04.23 388
199 대장암 대장전체 절제 관련하여? 1 jmjs 2020.05.14 847
198 강직성척추염도 나을 수 있을까요?(대리질문) 1 고객지원실3 2020.06.11 365
197 면역력과 암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1 sohn123 2020.06.16 600
196 고혈압 상담 드립니다. 1 친구야 2020.06.25 571
195 b형 만성간염 질문 1 철사나이 2020.07.06 362
194 박사님. 확인 부탁드립니다. 1 나실인 2020.07.08 411
193 안녕하세요. 박사님. 1 나은자 2020.07.21 344
192 간질성 폐 질환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1 행복한나 2020.07.23 302
191 담관내 스텐트 삽입후 관리 1 축복의통로 2020.07.28 1608
190 아기 뇌전증 상담입니다 1 헬로 2020.07.30 581
189 자궁내막암 투명세포 3 오이14 2020.08.03 1402
188 폐에 물차는 증상... 1 해피스마일 2020.08.11 2131
187 박사님 안녕하세요~ 1 truelov 2020.08.15 209
186 박사님 급하게 문의드립니다. 1 Wjkim 2020.08.16 332
185 박사님 질문드립니다 1 요한 2020.08.17 236
184 박사님 내용전달이 잘못되어 다시 글 남깁니다. 김원재 환자 자녀입니다. 1 Wjkim 2020.08.17 466
183 안녕하세요 질문드립니다 1 레이나 2020.08.20 3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 189 Next
/ 189